지난 금요일 퇴근 이후부터 오늘 하루까지, 주말의 대부분을 이 프로젝트에 쏟았다.
어떻게 로컬에서 자동화 블로그 작성 시스템을 구성했고, 어떤 시행착오와 선택의 연속이 있었는지를 기록해둔다.
결론부터 말하면 성공이다.
글의 내용이나 구성 퀄리티도 ChatGPT의 유료 API (GPT-4o-mini)를 사용할 때와 비교해 크게 뒤처지지 않는다.
👉 예시 글:
https://www.korealifenews.com/2025/04/seouls-new-immigration-policy_54.html
데스크탑은 다시 정비해서 써멀구리스도 새로 바르고, 깔끔하게 세팅했다.
뉴스 기사 → LLM 요약 및 영어 블로그 포스트 생성
이미지/링크 추출 → HTML 렌더링
작성된 글을 Blogger에 자동 업로드하는 로컬 기반 자동화 시스템이 목표였다.
1차 글 작성 모델
✔️ openhermes:latest
가볍고 빠르며 글의 톤이 부드럽다. 블로그용으로 매우 적합해 여전히 사용 중이다.
HTML 변환을 위한 모델
✔️ mistral:instruct
HTML 태그 구조 변환에 가장 적합했던 모델이다.
다양한 포맷 실험 끝에 결국 이 조합으로 안정화시켰다.
현재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동시에 7B 모델 2개는 무리. 성능적인 제약은 아쉽지만, 이 구성으로도 충분히 돌아간다.
Ubuntu 설치 → 실패
처음엔 “서버는 리눅스!”라는 고정관념으로 Ubuntu 설치.
하지만 설정이 오래 걸리고, 너무 불편했다.
결국 다시 Windows
초기엔 Docker로 n8n과 ollama를 컨테이너에 올리려 했지만…
결국 "자동화 블로그 서버"라는 목적에는 로컬이 정답이었다.
처음엔 LLM 하나만 쓰면 될 줄 알았지만,
모델 조합과 시스템 구성에 많은 고민과 실험이 필요했다.
그 결과, 지금은 완성도 높은? 자동화 블로그 서버가 내 로컬에서 안정적으로 돌아가고 있다.
다음 목표는 Loop 기능 개선, 그리고 다른 모델 실험이다.
이렇게 시간을 투자하고 나니 뿌듯하다.
언젠가 이 경험이 또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 다시 보기:
https://www.korealifenews.com/2025/04/seouls-new-immigration-policy_54.html
읽어줘서 고맙습니다 🙏
.
📘 블100프로젝트 Part 9 – GPT 토큰 비용, 진짜 그렇게 비쌌었나? 로컬 LLM의 한계와 재검토. (0) | 2025.04.14 |
---|---|
📘 블100프로젝트 Part 8 – 자동 실행 설정 성공, 그러나 자동 포맷 실패기 😅 (0) | 2025.04.13 |
블100프로젝트 - Part6. 현실 - 무료 LLM api 도전 - 실패 (2) | 2025.04.10 |
블100프로젝트 - Part5. 현실 -그래픽카드가 필요하다.(대안, 셀레니움) (0) | 2025.04.07 |
일기 겸 추가 블로그 계획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