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회차까지 자동화된 블로그 시스템을 구축하며, 하루 평균 10개의 한국어 뉴스를 영어로 번역 및 재가공하는 데 약 $0.02의 비용이 드는 것을 확인했다. 이후 이 영어 콘텐츠를 아랍어로 번역하는 데 추가 $0.01, 즉 기사당 총 $0.03 정도의 비용이 발생했다.
그런데, 만약 같은 콘텐츠를 50개국어 블로그에 배포한다면?
이를 하루 10개 기사 기준으로 계산하면 하루 총 $5.10, 약 6천8백원가량. 하지만 게시글 1개당 수익이 $0.01이라면 50개국어 배포 시 $0.50/기사 수익이 나기 때문에 거의 손익분기점에 가깝다. 현재는 '그냥 운영만 하면 손해도 이득도 아닌 상태'다.
🤔 그래서 든 생각이 하나 있다:
"번역을 로컬 LLM에게 시켜보면 어떨까?"
출처 입력
즉, 영어 재가공만 GPT-4o-mini에게 맡기고, 나머지 다국어 번역은 로컬 모델이 담당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다. 실제로 테스트 결과, 10개 기사를 GPT-4o-mini로 생성하는 데 $0.02밖에 들지 않았다. 이를 기준으로 하면:
항목
|
비용
|
영어 생성
|
$0.02 (10개 기사 기준)
|
다국어 번역
|
$0.00 (로컬 LLM 사용 시)
|
✅ 하루 총 비용
|
$0.02
|
이 상태에서 **다국어 블로그 50개 운영 시 하루 총 수익은 $5.00 (500개 포스트)**로 올라간다. 즉, 하루 $0.02 투자 → 하루 $4.98 수익, 이 구조가 성립한다!
🧪 실험 시작
현재는 아랍어와 스페인어 서브도메인을 만들어 테스트 중이다. 맥미니 M1 16GB 환경에서 로컬 LLM을 활용해 번역 품질과 속도를 테스트하고 있으며, 성능이 충분하다면 본격적인 하루 10개 기사 × 50개국어 자동화 시스템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번역정도는 할수있을듯
이게 완성되면?
📈 앞으로의 과제
이제부터는 '글을 줄이는 게 이득'이 아니라, 로컬 AI를 활용한 콘텐츠 확산 속도를 어떻게 높일지가 핵심이다.
다음 목표는 바로 이것:
"글 1개로 50개국어로 뻥튀기, 비용은 그대로, 수익은 50배."
도전이다 도전
잠못이루고 계속 생각이 쏟아져나온다.
📘 블100프로젝트 Part 11 – 구글스튜디오 AI 적용 (0) | 2025.04.17 |
---|---|
블백 프로젝트 1차 정리 및 차근차근 다음스탭 (0) | 2025.04.16 |
📘 블100프로젝트 Part 9 – GPT 토큰 비용, 진짜 그렇게 비쌌었나? 로컬 LLM의 한계와 재검토. (0) | 2025.04.14 |
📘 블100프로젝트 Part 8 – 자동 실행 설정 성공, 그러나 자동 포맷 실패기 😅 (0) | 2025.04.13 |
📘 블100프로젝트 Part 7 – LLM 서버 자가 구축기와 시행착오 기록 (0) | 2025.04.13 |